항로표지의 종류
야간에 등화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표시
기본요건- 요구되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볼 수 있을 것
- 항해자가 다른 등화와 식별할 수 있도록 등광에 개성을 주어 관측자가 명료하게 구분할 수 있을 것
- 섬광과 암간이 적당한 간격으로 항해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속도로 정확히 반복될 것
- 등명기 및 광원은 가능한 효율이 높고 신뢰성이 높은 것일 것
- 지리학적 입장에서 항로표지의 용도,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고 충분한 안정성을 가진 것일 것
종류 | 내용 | |
---|---|---|
등대 | ![]() 유인등대 |
항해하는 선박이 육지나 배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하거나 항만의 소재, 항의 입구 등을 알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연안의 육지에 설치된 등화를 갖춘 탑 모양의 구조물을 등대라 한다. |
![]() 무인등대 |
||
등주 | ![]() |
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기둥모양의 단순한 형태를 갖춘 부동 등을 발하는 것을 등주라 한다 |
등표 | ![]() |
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 등에 설치하여 주변을 항해하는 선박에게 장애물 및 항로의 소재 등을 알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구조물로서 등화가 있으면 등표라고 하고 등화가 없으면 입표라고 한다. |
조사등 | ![]() |
암초나 방파제 끝의 돌출 부분 등을 조사(照 射)하여 주변을 항해하는 선박에게 장애물의 소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한 투광기를 갖춘 구조물 |
도등 | ![]() |
선박의 통항이 곤란한 좁은 수로, 항구, 만 입구 등에서 선박에게 안전한 항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항로 연장선상의 육지에 고저차가 있도록 설치한 2기의 탑 모양의 구조물로써 등화를 발하는 항로표지를 도등이라 한다. |
지향등 | ![]() |
선박의 통항이 곤란한 좁은 수로, 항만, 만 입구 등에서 선박에게 안전한 항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항로 연장선상의 육지에 설치한 것으로서 녹광, 백광, 적광, 지향등용 등기를 갖춘 탑 모양의 구조물로써 백광구역이 안전항로이다. |
등부표 | ![]() |
항해하는 선박에게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의 소재를 알리거나 또는 항로의 경계를 알리기 위하여 해상의 고정위치에 뛰워놓은 구조물로써 등화가 설치된 것을 등부표, 등화가 없는 것을 부표라 한다. |
주간에 시인이 가능하도록 그 형상, 색채 등으로 위치를 표시
기본요건- 주간에 형상 및 채색에 의해서 그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시설입니다.
종류 | 내용 | |
---|---|---|
입표 | ![]() |
암초, 천초, 노출암등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경계표이다. 해중에 고립되어 설치되므로 파랑 및 풍압, 조류등에 견딜 수 있도록 위치의 선정과 설계를 견고히 하여야 한다. 특히 암초, 기타 위험을 피할 목적으로 쓰이는 것을 피험표라고 한다. |
부표 | ![]() |
고정표지를 설치할 수 없는 비교적 항행이 곤란한 해상에 정치되며 유도표지로서 역할도 한다. 부표에 등을 단 것을 등부표라 한다. |
도표 | ![]() |
통항 곤란한 수도나 좁은 항만의 입구 등의 항로를 표시하는 것으로 항로연장선상에 앞, 뒤 2개 또는 그 이상의 육표로 형성되거나 방향표로서 선박의 항행을 유도한다. |
안개, 눈, 비 등으로 시계가 불량할 때 음향을 발하여 그 위치를 표시
기본요건- 음파표지는 음파를 발생시켜 음향을 발사함으로써 선박에 그 위치를 알리는 것이다. 이 목적으로 음향을 발하는 기계기구를 무신호기(霧信號機)라 한다.
- 무신호기(霧信號)는 안개, 눈, 노을, 호우, 연무(燃霧)등에 의하여 시계 불량한 날이 많은 지역 또는 항만에 설치된다. 이러한 시계 불량한 날에는 주야 구별 없이 운용된다. 무신호기(霧信號)는 음향에 의하므로 그 음달거리는 비교적 짧으며, 더구나, 기상, 해상 상황에 따라 음달거리, 음향 방위가 변동하는 등 차이점이 크다.
종류 | 내용 | |
---|---|---|
에어사이렌 (Air Siren) |
![]() |
공기압축기로 만든 공기에 의하여 사이렌을 울린다. 통상 안개가 많은 해역에 설치된 등대에 병설되어 있으며 안개가 발생하면 그것을 검출하고 자동적으로 음향을 발하여, 선박에 무신호소의 위치를 알리는 것이다. |
전기혼 (Electronic horn) |
![]() |
전기장치에 의한 저주파 발진으로 발음기를 울려 소리를 내는 음파표지 |
모터 사이렌 (Motor Siren) |
![]() |
전동기에 의하여 사이렌을 취명하는 음파표지 |
전파의 여러 가지 성질을 응용하여 항해지표로 사용하는 것
기본요건- 전파의 특징인 직진성, 등속성, 반사성 등을 이용하여 선박이나 항공기의 지표가 되고 있는 것을 통틀어 무선표지 또는 전파표지라고 한다. 이것은 전파를 이용하므로 천후에 관계없이 항상 이용이 가능하고, 넓은 지역에 걸쳐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.
종류 | 내용 | |
---|---|---|
위성항법보정기준국(DGPS) | ![]() |
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의 약자로서 24개(21개, 예비 3)의 위성을 이용한 위성항법장치(GPS)의 측위오차를 보다 정밀하게 보정하여 중파 283~325kHz로 Radio Beacon신호(A2, A)와 함께 MSK로 변조된 G1 D전파를 발사하는 시설로서, 정도는 약 10m이내이고 유효거리는 약 100M 정도이다. |
레이더비컨 (Radar Beacon) |
![]() |
레이콘은 무지향성 전파를 24시간 발사하여 선박에서 사용중인 레이더(Radar)의 화면상에 모르스 휘선을 나타내어 배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
장치이다. 농무시나 기상 악화시 선박의 안전 운항에 기여하고 있다. |
로란국 (LORAN국) |
![]() |
LORAN(Long Range Navigation)이란 쌍곡선 항법을 이용하여 선박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거리 무선항법장치로서 Loran-A와 Loran-C가 있다. |
좁은 해협·수로 등에서 선박의 교통량, 항법상의 각종자료 및 조류의 방향 등을 주야간에 전파 또는 형상물로써 항행선박에 항법상의 자료를 통보하는 것
-
선박통항신호소(VTS) :
항만출입항로, 항만접근수로 및 협수로 해역에 레이다 및 CCTV를 설치 항해선박을 관제하여 안전항해를 유도하기 위한 시설
-
조류신호소 :
항만출입항로, 항만접근수로 및 협수로 해역등 조류가 강한 해역을 항행하는 선박에게 조류의 세기 및 방향을 대형전광판을 이용 항해자에게 알리는 표지시설
-
해양기상신호표지 :
해양기상정보(풍향·풍속, 온·습도, 기압, 유향·유속, 수온, 시정 등)를 수집하여 인터넷, 유무선 방송, 자동위치식별신호표지 등을 통해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해 통항선박의 안전운항을 확보하기 위한 항행정보 서비스 시설
-
자동위치식별신호표지(AtoN AIS) :
선박의 전자해도에 항로표지의 위치, 상태 등을 표시해주고, 각종 안전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항로표지
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?